본문 바로가기

- 팁과 노하우

'워드프레스 블로그' 운영 시 고려할 점

PR인, 소셜미디어 관련 종사자가 관여해야할, 혹은 습득해두어야할 지식은 어디까지 일까요? 이 분야에 있는 분이라면 얼마간은 IT 베이스여야 하고, 또 얼마간은 새로운 미디어, 새로운 디바이스에 holic 되어야 한다합니다.(블로터닷넷 주최 <2013 소셜분석인사이트 2013> 다녀와서 느낀 점 요약 참고)


그런데 문제는.. 그 '얼마간'의 범위가 어디까지냐라는 것이죠.^^ 일례로 '워드프레스Worldpress'에 대한 관여도가 그러하겠습니다. 물론, 블로그 운영, 콘텐츠, SEO 단의 이야기는 논외이지만, 개발단으로 접근하면 소셜미디어 담당자와 개발자의 분야가 참 애매해집니다. 저와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특히, PR쪽 베이스분들이 많으리라 생각되는데요.. 그래서 짬봉닷컴에서 이런 철지난 포스트를 해봅니다.^^;; 무려 <'워드프레스 블로그' 운영 시 고려할 점>입니다. 늦어도 2012년에는 했어야 하는 이야기인거 같...

 


워드프레스로 개편된 삼성전자 블로그
 

이글의 기술적인 부분은 아래 포스트, 영상, 기사들을 참고 했습니다.(그외 참고 페이지 및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장에 추가)
WorldPress.org
WP matter

Austin Smith: Big Media Strategies For WordPress
‘워드프레스는 만능인가?’ 씨넷코리아 도입기

 


워드프레스가 무엇이냐!!

따분한 시작-_- 다만,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 '워드프레스Wordpress'는 네이버/다음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등과 마찬가지로 블로그 tool의 하나라고 이해하면 속편합니다. 좀 더 깊이 들어가면 중요한 개념 'CMS' 즉, Contents Management System 의 하나로 보면 되는데요. 그 중에서도 네이버/다음 등의 '가입 기반 블로그', 티스토리의 '중간 형태 블로그'와 달리, '설치 형태 블로그'의 하나입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CMS 3가지 형태 참고) 워드프레스와 같은 설치 형태블로그와 다른 형태의 가장 큰 차이로 말하자면, '도메인'과 '서버호스팅'이 필요하다는 점이겠죠. 쉽게 말해, 블로그하려면 URL을 구입해야하고, 내가 쓴 글, 이미지, 영상 등을 저장할 다른 공간을 스스로 구비해야한다는 것.


이러한 설치 형태 블로그는 제로보드, 그누보드 그리고 워드프레스 등이 있는데요. 현재 전 세계 7천300만 개 이상의 웹사이트, 활성화된 웹사이트의 20%가 워드프레스로 운영되고 있고, 웹기반 CMS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하네요. 우리나라에도 2011년을 전후해 많은 얼리어답터분들이 사용하기 시작했고, 2013년에는 삼성, kt 등의 주요기업과 서울시 등의 기관이 워드프레스를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웹사이트를 통해 배포판을 내려받아 활용하면 됩니다.^^ 참 쉽죠?



워드프레스.org의 원판과 한글판

 



왜 워드프레스를 고려해야하는가?
자.. 이제 '워드프레스'가 무엇인지는 대충알겠습니다. 그런데 왜, 굳이, (설명만 들어도 복잡한) 워드프레스를 써야한다는걸까요? 몇가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자율성이 높은 블로그이다.
'블로그' 측면에서 봤을 때, 최대 장점은 가입형이나 중간형태에 비해, 자율성이 매우 높다는 것. 다시말해, 구축, 운영, 활용, 분석 등을 운영자 맘데로, 쓰고 싶은 tool이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건데요. 이것은 반대로 '어렵다..'의 주요 이유되겠습니다.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고 하던가요! (응?)


2) 구축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사이트이다.
이번에는 '사이트' 측면에서 봐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는 단순히 블로그로 접근하는 것보다 '사이트'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도 있겠습니다. 오픈소스에 기반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플러그인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데로 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는건데요. 그러므로 비용이 덜들죠. 사이트를 따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니 더블로 덜들죠. 근데 블로그랑 비교하면 개인 블로그하는데 커피값 말고도 돈듬. 우왕


3) 모바일에 최적화되어 있다.
워드프레스의 강점 중 하나죠. 워드프레스는 모바일 반응형 웹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을 차용해 각종 디바이스에서 최적의 형태를 자동으로 구현해줍니다.(RWD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 참고) 모바일을 위한 사이트를 따로 구축할 필요도 없거니와, 사용자가 의도한 바를 모바일에서도 비교적 그대로 전할 수 있다는 의미이겠습니다. 바야흐로 모바일 시대입니다. 이미 블로그에서도 모바일 유입은 데스크탑을 압도하고도 남는 상황인데요. 이런 시점에서 중요 체크 포인트되겠습니다.


4) 검색엔진에 최적화되어 있다.
워드프레스는 SEO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구글의 SEO는 구글이 말하는 SEO, '검색 엔진 최적화' 방법 6가지 참고) 이는 별도의 코딩없이도 포털사이트 검색봇에 최적화된 결과물을 만들어낸다는 것인데요. 이밖에도 llinback, Trackbacks, Blogroll을 포함해, 다양한 링크와 커넥터들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5) 소셜미디어 연동에 용이하다.
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구축 및 운영단에서 사용자가 HTML을 직접 만지고 꾸밀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SNS를 연동하거나 플러그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냥 대충 각종 SN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를 마음데로 구현할 수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좋네요.


6)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플러그인을 공짜로 사용할 수 있다.
2)에서도 간단하게 집어보았던 부분인데요.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자가 그보다 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플러그인 등을 개발해 제공합니다. 업계를 거의 지배하는 CMS라는 장점이 여기서 더욱 발휘되는데요. 다른 경쟁사에 비해, 워드프레스에 최적화된 수 많은 tool들이 있다는 것은, 워드프레스를 선택해야하는 주요한 요인이 됩니다.



그래서 워드프레스 책이 그렇게 많았나보다..

 



워드프레스를 선택할 때, 고민해봐야 할 것들

그럼 우리는 모두 워드프레스를 선택해야할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단순한 블로깅을 원한다거나 공유, 소통에 기반한 채널을 고민한다면 워드프레스는 논외로 두는게 속편할 듯 합니다. 워드프레스의 장점이 easy to use 라고 많은 분들이 말하는데.. 그것은 위의 장점에 대비해 쉽다~는 것입니다! 그럼 워드프레스를 고려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할까요?


1) 생각보다 비싸다.
위에서 말한 부분을 고려하지 않고 접근할 경우, 특히,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드는 것에 당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사이트'를 구축하는 것에 비해 저렴할 수 있습니다.(케바케이지만) 다만, 운영단이나 업그레이드에서도 워드프레스는 추가의 비용이 (당연히) 들어갑니다.


2) 운영이 쉽지는 않다.
역시 위에서 말한 부분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쉽게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당연히 모든 것을 정해진데로 쓰는 블로그에 비해 운영이 쉽지 않겠죠.^^; 다만, 그외에도 커스터마이징을 했을 때, 운영자는 쉽게 업데이트를 하거나 관리하기가 어렵습니다. 쉽게 말해, 아무거나 건드렸다가는 클날 수 있다는 겁니다.


3) 한국인을 위한 최적화된 툴인지 고민이 필요하다.
가장 큰 문제는.. 모바일 환경과 함께 많이 개선되고는 있다지만, 여전히 포털사이트의 절대강자 <주식회사 네이버>님하가 워드프레스를 별로 안좋아한다는 겁니다. 제 아무리 SEO에 최적화되어 있다해도 네이버가 안써주면 그만임. 더불어, 운영단에서 한글화가 완벽히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도 고려요소. 특히, 각종 용어와 문구, 웹디자인은 한글화에 대한 세부적인 작업이 필수이나, 이마저도 100% 한글화는 곤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Report가 많습니다.(참고)


4) 생각만큼 완전한 자유도를 제공하지 않는다.
워드프레스는 어디까지나 블로그에 최적화된 CMS입니다. 이에 따라, 완전한 자유도가 있는 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한다면 각종 기능이나 디자인적 요소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2)에서 언급한 커스터마이징이 문제인데요. 커스터마이징을 하면, 일단 돈이 많이 들고, 사후 관리에도 문제가..


5)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다시 말하거니와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기반입니다. 이는 모두에게 열려있다는 뜻이고.. 그에 따라 모두가 알고 있는 방식으로 연동되므로 당연히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애플ISO에 왜 그 흔한 바이러스와 해킹 등이 별로 없는가를 생각해보면 답이 쉽게 나오겠습니다. 특히, 워드프레스 측에서 제공하는 업데이트를 제때제때 해주지 않을 때는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6) 부가적인 운영상의 에로사항이 번번히 발생할 수 있다.
2)나 4)와 연계된 내용인데요. 직접 구축하고 만져가며 운영하는 블로그인만큼, 그에 따른 운영상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번 만들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블로그의 특성도 이를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 개발단의 서포트가 반드시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는 점은 꼭 참고하셔야 겠습니다.



Google에서 'Wordpress'로 검색되는 '687,000,000'개의 자료와
'Wordpress error'로 검색되는 '172,000,000'개의 성토(?)들 (..)
(687,000,000에서 172,000,000은 빼야겠죠?)


여기까지. '워드프레스Wordpress 블로그' 운영 시 고려할 점에 대해서 고민해보았습니다. 도입단에서 고려해야할 요소들만 다뤄보긴 했습니다만.. 부디 워드프레스에 대해 (이유가 무엇이든) 고민하시는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